전체 글 332

2022 여우락 페스티벌 정리

작년에 여우락페스티벌에서 3개의 공연을 봤고 그 공연들이 모두 인상적이어서 다음 여우락에는 꼭 패키지를 끊어서 다 봐야지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2022년, 드디어 여름, 드디어 여우락. 마음 먹었던대로 패키지를 끊고 공연을 하나하나 보기 시작했다. 각 공연을 마치고나면 국립극장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에 공식 사진과 셋리스트가 바로바로 올라왔다. 공식사진 퀄리티가 정말 어마어마하게 좋다. 공식 정보를 바탕으로 관람 순서대로 정리해본다. 사진은 커튼콜 때 직찍. 무토(MUTO) 일시 : 2022년 7월 1일 금요일 오후 7시반 장소 : 달오름극장 셋리스트 1. Intro 2. 청성곡 3. Harm 4. Seven blind Men 5. Red moon 6. Sonnet 7. Straight Line 8. 만..

2층에서도 여실히 느껴지던 광기, 연극 [리처드 3세]

일시 : 2022년 2월 5일 오후 2시 장소 : 예술의전당 CJ 토월극장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은 정말 쉼없이 무대에 오르는구나. 고전이란 이런 것인가 새삼 힘을 느끼게 된다. 황정민이 곱추왕 리처드3세를 연기한 데서 보러 갔다. 자리는 2층이었는데 깊은 토월극장의 무대를 보기에 2층이 나쁘지 않았다. 황정민의 광기는 은은하면서도 강렬했다. 은은하다고 표현한 이유는 과장된 연기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과장되지 않지만 충분히 전달되던 잔혹함. 어리석은 마음... 명불허전이라는 느낌이 드는 연기였다. 악인을 매력적이라고 말하면 안되는 줄 알면서도 매력적이었다고 말하게 될만큼. 사실 그 연기가 매력적이었던 거겠지만. 다만 다른 배우들 중에는 지나치게 '연극쪼'의 연기여서 튀는 분이 있긴 했다. 배우들이 모두..

개인적인 기억때문에 심난했던 [라스트 세션]

일시 : 2022년 1월 9일 오후 6시 장소 : 대학로 TOM 1관 이 극은 프로이트와 C.S.루이스의 대화가 전부인 극이다. 무신론자와 신학자와의 대화. 보기 전부터 좀 망설였는데, 연기가 보고 싶어서 갔고, 본 결과 연기는 흡족했으나 개인적인 경험 때문에 너무 심난했다. 각자의 신념과 이론(?)으로 무장한 두 학자도 저렇게 도돌이표같은 대화를 하고 있는데, 나는 프로이트도 아닐 뿐더러 남이 종교를 가지고 있거나 말거나 별 상관하지 않고 남에게 믿음 따위 갖지 말라고 설파하는 자도 아닌데, 그저 내 자신이 그저 믿음이 생기지 않는 자였을 뿐인데, 대체 왜 저런 대화를 하는 현장의 일원이어야했나, 긴 시간 너무 소모적이었구나, 라는 생각이 들면서.....아휴 (이하생략) 신구 배우님 고통스러워하는 연기..

나는 연극 [마우스피스]를 두 번 보았다

일시 : 2022년 1월 7일 오후 8시 장소 : 대학로 아트원씨어터 2관 처음 봤을 때 남긴 후기는 여기 그녀의 작품은 타인의 삶을 훔친 것일까, 대변한 것일까. 연극 [마우스피스] 일시 : 2021년 12월 11일 오후 3시 장소 : 아트원씨어터 원작 : 키이란 헐리 (Kieran Hurley) 연출 : 부새롬 김신록 배우가 지금은 '지옥'의 배우로 대중에게 인식되고 있는 것 같지만, 나한테는 '괴물'의 zeunee.tistory.com 전성우 배우는 대학로에서 인기가 아주 많은 배우라고 한다. 나는 몇몇 드라마에서 본 게 전부라 몰랐던 사실이지만, 팬덤이 무척 두터운 배우인 것 같았다. 무대에서도 인기가 많았는데, 매체에서 인지도도 높아지다보니 더더욱 표를 구하기가 어려워진 배우라고 들었다. 그럼에..

장사익X고영열 콘서트 [꾼]-성남

반년 전 공연이라 기억이 날리 없지만 기록 차원에서 써보려고 한다. (기록차원이면 진작했어야지! 자책) 일시 : 2022년 1월 2일 오후 4시 장소 : 성남아트센터 오페라하우스 꾼의 사전적 정의를 찾아보면 ‘어떤 일, 특히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의 일에 능숙한 사람’ 이라고 나와있다. 2022년의 첫 공연은 ‘꾼’이라는 제목 아래 열린 두 소리꾼의 무대였다. 공연은 1부와 2부로 나뉘어 1부는 젊은 소리꾼 고영열이 고영열 밴드와 함께 무대를 꾸몄고, 2부는 장사익 선생의 무대. 앵콜도 장사익 선생의 무대로 이어졌고 커튼콜때 고영열도 함께 나와 인사를 했다. 즉, 합동무대는 없었다. 두 사람의 합동무대를 기대했던 사람들에게는 아쉬울 부분(=그건 바로 나) 1부 무대에 등장한 고영열은 쓰리피스 정장에 넥타이..

이승환 콘서트 914 시리즈 [딱] 그 두번째

일시 : 2022년 3월 1일 장소 : 구름아래소극장 와, 공연 당일에 후기를 정리한다. 정말 애정 없이는 할 수 없는 일이다. 셋리스트를 정리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이승환 음악 중 조금이라도 일렉 기타가 징징징징 울리는 노래는 다 나온 것 같은 공연이었다. 아, 물론 이번 공연은 상급자용 공연이라는 조건이 붙어 있어서 센 곡들 중에서도 조금은 덜 알려진 곡들이 주로 선곡되었고 그래서 만족감을 주는 공연이었다. 환느가 너무 정중앙으로 보여서 눈을 마주치는 것 같은 착각마저 들었다. 사실 첫 번째 딱 공연 예매할 때 이선좌를 연거푸 4번 당하고 미끄러졌기 때문에 이번 예매때는 처음부터 아예 뒷자리를 공략했었는데 G열 13번 자리는 앞 열과 살짝 어긋나있어서 시야에 걸리는 것도 하나 없고 소극장이라서 무대..

내 내면의 소리를 들은 줄 알았네

주말에 부산 여행을 다녀왔다. 4만보 정도 걸었기 때문에 다리며 엉덩이며 내 몸이 내 몸이 아닌 것 같은 상태여서 오늘은 거의 누워서 지낼 것 같다. ㅎㅎ '어제 뭐 먹었어'를 틀어놨는데 시로상이 감기가 들어서 자리 보전하고 누워있고 켄지상이 모처럼 요리를 한다. 지난 화에 혼자 삿포로 이치방 라멘 끓여먹을 때도 그러더니 ㅋㅋㅋ 여전히 입으로 요리하고 계신 켄지상. 이마에 쿨링시트를 붙이고 누워있는 시로상의 내면의 소리를 보고 깜짝 놀라서 당황. 내 생각 읽은 줄 알았지 뭡니까. 그런데 생각해보니 혼잣말은 나도 많이 한다. 이번 부산 가서도 혼자 돌아다니다가 혼자 중얼거린 적이 많았음. 고양이 보면 고양이한테도 말 걸고 새 보면 새한테도 말 걸었고 심지어 새가 안 보여도 중얼거렸지. "오늘은 못 봤지만 ..

잡담 2022.02.21

오늘의 충격.... 켄지가 그 형아였다니

오늘 문득 생각나서 일드 [어제 뭐 먹었어?] 시청. 내가 이 드라마를 본 이유는 순전히 니시지마 히데토시이고, 상대역 켄지역으로 나오는 아저씨는 '나이는 들었는데 처음 보는 사람인가? 모르는 사람이네. 예능쪽인가?' 라고 생각을 했었더란 말이다. 그런데 오랜만에 다시 보니 묘하게 아는 사람 같은 거야. 그래서 머릿속으로 장발을 걷어내고 안경도 벗은 얼굴을 상상해봤는데 헉, 설마, 아니겠지. 그 차가운 냉혈인간이 저 실실이라고? ㅋ 검색 후, 아...맞네. 천생 연기자시네. 나 왜 못 알아봤냐며 ㅋㅋㅋ 뒤로 넘어감. 내 눈썰미 다 죽었어 ㅜㅜ 대체 왜 같은 사람인 거야 ㅋㅋㅋㅋㅋㅋ 왜 텟페네 형이 켄지상인거냐고!!! 이름은 왜 다르게 읽는 건데. 오늘의 쇼크 아니, 오늘의 뒷북이었다.

잡담 2022.02.13

한달 늦은 국립극장 신년음악회 후기

일시 : 2022년 1월 14일 금요일 오후7시30분 장소 :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SET LIST 1부 하나의 노래, 애국가 (작/편곡: 손다혜) 4중창 협연 라비던스 I Can Prove 몽금포타령 고맙습니다 2부 메나리토리에 의한 국악관현악 '감정의 집' (작곡: 최지혜) 피아노 협연 양방언 정선아리랑 아리랑 로드 - 디아스포라 Flowers of K & Frontier 앵콜 아름다운 나라 (피아노: 양방언 / 노래 : 라비던스) 새해를 맞아 각 공연장 혹은 오케스트라마다 신년음악회 계획을 발표했는데, 국립극장 신년음악회에 라비던스가 협연자로 참고한다는 소식을 듣고 표를 구했다. 양방언이라는 대가도 협연자로 참여하는 만큼 티켓팅 경쟁이 치열했다. 표를 구할 당시에는 1층 뒷자리라 아쉬었는데 막상 가보..

최근 캐스팅 발표된 뮤지컬 작품들 [아이다] [차미] [데스노트]

먼저 [아이다] [렌트] [시카고] 캐스트가 많이 겹치는구나. 작년에 김수하 배우 필모를 쭉 따라왔던지라 왠지 봐야될 것 같은 느낌이. 공연기간은 5/10~8/7. 장소는 블루스퀘어 신한카드홀 이 극에 대해 잘 모르는지라 관극메이트한테 "추천입니까?" 물었더니 최애작품 중 하나라고. 같이 가기로 했음. 일단 표를 잡아야. ㅎㅎ 차미호 役 – 유주혜, 이아진, 홍나현 차미 役 – 이봄소리, 정우연, 홍서영, 이채민 김고대 役 – 조풍래, 기세중, 안지환, 황순종 오진혁 役 – 박영수, 고상호, 진태화, 차서원 뮤지컬 [차미] 이 작품도 초연 때 평이 좋았다고 들었다. 한 번은 봐야지. 기세중 배우 캐스트로 봐야지 ㅎㅎ 4/22~7.10. 플러스시어터 뮤지컬 [데스노트] 배우들 면면은 좋은데 (서경수 배우 ..

반응형